스트래티지, 또다시 비트코인 2.1만 개 사들였다

스트래티지, 또다시 비트코인 2.1만 개 사들였다

[이벤트] 에그앤파트너스(EGGT) 거래왕 이벤트 안내

10일간의 EGGT 에어드랍 대축제 참여하고 혜택 받자! 지금 고팍스에서 EGGT 거래하고, 거래왕에 도전해 보세요!

자세히 보러가기

[리서치] 가상자산 시장 주간 코멘터리: AI 슈퍼사이클, 크립토 4조 달러

현재 국면은 구조적 추세는 견조하지만, 단기적으론 거시 변수와 계절성 리스크가 혼재된 ‘균형 잡힌 낙관’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러가기


Market Roundup

[ 스트래티지, 또다시 비트코인 2.1만 개 사들였다 ]

  • 스트래티지가 2만 1021 BTC를 추가 매입함. 이번 평균 매입가는 개당 11만 7526달러로, 사실상 고점 근처에서 대량 매수함
  • 누적 보유량은 62만 8791 BTC(약 98.4 조 원)로 늘어남. 주식·전환사채 발행 등 레버리지 조달 기조는 유지하고 있음
  • 회계 기준 변경 덕에 2Q 영업이익 140억 달러를 인식함. 세일러 의장은 “NAV 2.5배 밑에선 증자 안 함”이라며 남발 우려를 차단함

💡 최대 보유사가 고점에서도 물량을 흡수함에 따라 BTC 유통 공급이 더 희소해지고 있습니다. 기업 재무 전략으로서 ‘BTC 사재기’ 모델이 여전히 주가·실적 모두를 끌어올립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 SEC, “리퀴드 스테이킹은 증권 아니다”…LST 시장 탄력 ]

  • SEC가 성명서 통해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LST)을 단순 ‘스테이킹 영수증’으로 판단, 별도 증권 등록 의무에서 제외됨
  • 단순 예치·토큰화 구조일 때만 해당됨. 수익 보장·투자 판단 개입 시엔 여전히 증권법 적용될 수 있음이라며 예외 조항도 명시함
  • SEC의 친 크립토 기조 강화로 PoS 체인 현물 ETF 설계‧스테이킹 수익 반영 기대감이 커짐. 업계선 “ETH·SOL ETF에 LST 유동성 활용 길 열림” 평가도 나옴

💡 SEC가 LST를 ‘영수증’으로 간주함에 따라 리퀴드 스테이킹 TVL 확대와 ETF 설계 다변화가 동시에 탄력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 토스도 TF 꾸렸다…빅테크 ‘원화 스테이블코인’ 전쟁 점화 ]

  • 토스가 스테이블코인 전담 TF를 신설함. 은행·증권·간편결제 계열 3사까지 참여해 발행·유통·결제 전 영역 사업성 검토 중임
  • 카카오(뱅크·페이)·네이버페이·LG CNS 등도 각각 TF 구성·상표 출원·블록체인 PoC 추진 중이며, “원화 코인 도입 시 주도권 확보” 목표로 전략 수립이 가속화됨
  • 스테이블코인 도입 땐 블록체인 기반 직접 송금·해외 결제 수요 급증 예상됨. 빅테크는 플랫폼·금융 자회사 결합으로 발행→결제→보관까지 원스톱 생태계 구축 가능성이 높음

💡 입법·제도 로드맵이 가시화되자 국내 핀테크·ICT 대기업이 ‘선점형 컨소시엄’ 전열을 갖추는 국면입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 애플 1,000억달러 투자 발표…뉴욕증시 또 사상 최고 ]

  • 애플이 美 생산 확대 위해 추가 1,000억달러(약 139조원) 투자 계획 밝힘. 관세 혜택 노린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됨. 애플 주가 5.1% 급등함, 아마존·테슬라 등 빅테크 전반에 매수세 확산됨
  • S&P500 +0.73% → 6,345p·나스닥 +1.21% → 21,169p로 올해 12번째 신고가 달성함. 업종별로 임의소비재·기술 상승, 헬스·에너지 약세 이어짐
  • 연준 인사들 “경제 변곡점…단기 금리 인하 필요 가능성” 비둘기 발언. 선물시장은 9월 25bp, 연내 75bp 인하 확률 50% 이상 반영함

💡 ‘애플발 투자 모멘텀 + 연준 완화 신호’가 겹치며 빅테크 주도 랠리 지속됩니다. 금리 기대가 현실화되면 성장주 프리미엄이 한층 강화될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News Roundup

트럼프 "차기 연준 의장 후보 3인에 대한 면접 절차 시작"

원문 보러가기

美 CFTC, 등록 거래소서 가상자산 현물 거래 허용 추진

원문 보러가기

금융위 '스테이블코인' 해외 입법 사례 분석 돌입

원문 보러가기

트럼프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한국은 15% 전망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