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가상자산 마켓 인사이트: 2025년 9월호

01 / 핵심 요약
- 8월 총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생산자물가지수(PPI) 서프라이즈의 영향으로 1.7% 소폭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 시가총액 점유율은 약 57.3%로 내려갔고, 이더리움은 14.2%를 상회하며 9월 연준 금리 인하 기대 속 알트코인으로의 로테이션을 반영했습니다. 기업 재무부의 ETH 보유는 444만 ETH까지 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9월은 차익실현으로 약세가 나타나기 쉬운 시기입니다.
- 금리 인하는 흔히 비트코인에 호재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상관성은 약하고 변동적입니다. 시장은 기대를 선반영하는 특성이 있어, 단순히 “금리 인하=BTC 상승”으로 보는 것은 과도한 단순화입니다. 핵심은 향후 연준의 실제 행동이 시장 기대와 얼마나 어긋나는지, 그리고 그 당시의 거시 환경입니다.
- 8월 USDe는 43.5% 이상 증가해 공급량 122억 달러, 안정코인 시장(약 2,800억 달러)의 점유율 4%대를 기록했습니다. USDe는 536일 만에 공급 100억 달러를 돌파해, USDC(903일), USDT(2,000일)보다 빠른 기록을 세웠습니다. 글로벌 금리가 역사적 저점 대비 여전히 높은 가운데 점차 하향 추세가 예상되는 환경에서, 수익형 모델은 시장 내 견고한 ‘해자’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2025년 들어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이 큰 폭으로 성장해 TVL이 약 72% 증가했습니다. Aave가 TVL의 54%로 1위를 지키는 가운데, Maple과 Euler는 각각 약 30억 달러 수준까지 빠르게 확대되었습니다.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자산 확산 속에서 주요 디파이 대출 플랫폼은 기관 채택 확대의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 2025년 8월 디파이 플랫폼(하이퍼리퀴드, Pump.fun 등)의 토큰 바이백 규모는 총 1억 6,6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바이백은 토큰 가치를 제고하고 팀의 장기 신뢰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자리잡는 추세입니다. 다만, 투자자들은 바이백의 지속 가능성과 플랫폼 수익의 일관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02 / 크립토 시장 성과
8월 총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1.7%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약 124,400달러) 근처에서 되돌림을 보였고, 이더리움도 4년래 고점을 잠깐 터치한 뒤 조정받았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연준의 PPI 발표(예상보다 높은 수치) 영향이 컸습니다.
비트코인의 시총 점유율은 약 57.3%로 하락했고, 이더리움은 14.2%를 상회하며 알트로의 자금 이동을 시사했습니다.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위험선호를 자극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재무부의 ETH 순매수는 계속되어 누적 444만 ETH(유통량 3.67%)를 기록했습니다.
앞으로도 8월 하락이 9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연말을 앞두고 차익실현이 나타나기 쉬운 계절적 요인이 있습니다.

상위 10개 자산 월간 수익률(시총 기준)

- LINK +35.9%: 미국 정부가 GDP 데이터를 온체인 공개하는 오라클로 체인링크를 선택한 점이 디파이 채택을 촉진했습니다. 또한 일본 SBI 그룹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CCIP를 활용한 부동산·채권 등 RWA 토큰화를 추진합니다.
- ETH +18.6%: 기관·리테일의 꾸준한 순매수와 ETF 자금 유입, 기업 트레저리의 대규모 매수(예: Bitmine이 6주간 80억 달러 이상 매입) 등이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 SOL +15.5%: 기업 트레저리 수요가 유입되는 가운데, 거래 최종성 단축으로 속도·신뢰성을 높이는 Alpenglow 업그레이드 기대가 가세했습니다.
- ADA +8.6%: SEC가 그레이스케일의 Cardano ETF 판단을 10월로 연기한 후 반등했습니다.
- BNB +7.8%: 기업 트레저리의 관심 상승, 네트워크·생태계 확장이 지속되었습니다.
- TRX +4.5%: 커뮤니티 투표를 거쳐 네트워크 수수료 60% 인하가 승인되었습니다.
- HYPE +0.7%: 플랫폼 사상 최대 매출과 대규모 바이백에 힘입어 사상 최고가 경신 후 말미에 되돌림.
- DOGE +0.1%: 9억 DOGE가 바이낸스 지갑으로 이동하며 매도 압력 우려가 부각.
- BTC -8.0%: 차익실현과 알트(특히 ETF 자금 유입이 강했던 ETH)로의 로테이션.
- XRP -8.7%: 내부자 거래 의혹으로 단기 매도 압력 확대.
2.1 디파이(DeFi)

2025년 8월 디파이 TVL은 전월 대비 9.26% 증가하며 활동이 확대되었습니다. 유동 스테이킹 토큰(LST)의 ‘증권성’ 배제 및 스테이블코인 규제의 진전 등 우호적 규제 모멘텀이 배경으로 보입니다. 상위 5대 생태계 중 이더리움의 점유율은 60%에 근접하며 상승했고, 솔라나를 제외한 다른 체인은 하락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활동 확대도 온체인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시장은 8월 한 달 6.49% 팽창했고, USDC 시가총액이 소폭 증가하는 동안 USDT는 격차를 더 벌렸습니다. 신흥 스테이블코인인 USDe 공급은 8월에만 80% 이상 급증했습니다.
2.2 대체불가능토큰(NFTs)

NFT 시장은 7월 강한 반등에 이어 8월 총 매출이 약 4% 추가 증가했습니다. 이더리움 기반 NFT의 우위는 유지됐으나, 이더리움 월간 매출은 19.6% 감소했습니다. 폴리곤은 51% 감소하는 등 기타 체인의 하락 폭이 더 컸습니다. 상위 20개 컬렉션 중 Courtyard by Polygon이 1위를 회복했고, CryptoPunks, BAYC, Pudgy Penguins 등 이더리움 컬렉션도 상위를 차지했습니다.
다만 7월 급증 이후 성장세를 유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시장 포화, 구매자 관심 둔화, 디지털 컬렉터블의 장기 가치에 대한 회의론이 활동을 제약했습니다. 거시 불확실성과 신규 유틸리티 부족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향후 반등 지속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03 / 이달의 차트
금리 인하가 정말 BTC에 호재인가?

직관적으로 금리 인하는 비트코인 호재로 보입니다. 8월 잭슨홀에서 파월 의장이 다소 비둘기파적 뉘앙스를 보인 직후, BTC는 112,400달러 → 117,300달러로 약 4% 반등했습니다. 그러나 장기 상관성 분석에서는 양·음의 상관이 모두 약하게 나타났고, R²는 0에 근접했습니다.
지난 2년간 비트코인–정책금리 관계는 단순한 호·악재 구도에서 기관 채택, 정치적 촉매, 구조적 시장 변화가 얽힌 다층적 역학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또한 금융시장은 선반영됩니다. “연내 2회 인하” 같은 호재는 이미 BTC 등 위험자산 가격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BTC 상승”은 과도한 단순화이며, 핵심은 연준의 실제 행동이 기대와 얼마나 다른지, 그리고 그러한 행동을 이끄는 경제 맥락입니다.
에데나(Ethena) USDe, 사상 최단기간에 공급 100억 달러 달성

USDe는 8월 한 달 43.5% 이상 증가해 122억 달러 공급을 기록, 약 2,800억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을 4%대로 끌어올렸습니다. USDe는 536일 만에 공급 100억 달러를 넘겼으며, USDC(903일), USDT(2,000일+)보다 빠른 속도입니다. 더 깊어진 유동성과 성숙한 시장 환경이 속도를 도왔지만, 그럼에도 채택 속도는 주목할 만합니다.
USDT·USDC를 제외하면, 온체인 신규 달러 유입의 ‘과반 이상’을 USDe가 차지하는 구간이 잦아졌습니다. 때때로 (블랙록의 IBIT를 제외한) BTC·ETH ETF 유입과 맞먹거나 웃도는 자금 유입이 관측되기도 했습니다.
USDe의 수익 설계는 차별점입니다. 단순 결제형 토큰과 달리 리스크 대비 수익을 제공하며, ‘수익형 달러’라는 오랜 공백을 메웠습니다. 에데나는 TON 통합, 수수료 스위치·바이백·인센티브 등도 확대해 디파이 네이티브를 넘어 분배를 넓히고 토큰 보유가치를 높이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글로벌 금리가 역사적 저점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되 하향 안정이 예상되는 환경에서,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모델은 견고한 해자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디파이 대출 TVL, 연초 대비 72% 급증

연초 이후 디파이 대출 TVL은 약 530억 달러 증가해 1,270억 달러에 도달했습니다. Aave가 약 680억 달러(점유율 54%)로 선두입니다. Maple과 Euler는 각각 약 30억 달러로 확대됐고, Maple은 SYRUP 토큰 및 SyrupUSDC 수익 상품, Euler는 Euler Swap DEX와 Frontier 스테이블코인 대출 인프라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토큰화자산 채택 가속화 속에서 디파이 대출은 기관 유입의 관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Aave Labs의 Horizon은 기관용 대출마켓으로, 토큰화 RWA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 대출을 가능케 합니다. (스테이블코인 제외) 토큰화 RWA 시장은 이미 약 27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Horizon 같은 상품은 유동성을 잠금 해제하고 RWA를 생산적 자산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8월 토큰 바이백 1억 6,600만 달러

8월 디파이 플랫폼의 바이백 총액은 1억 6,6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Hyperliquid와 Pump.fun이 사상 최대 매출에 힘입어 바이백을 주도했습니다. Pump.fun은 프로그램 시작 이후 5,800만 달러 이상을 투입, 순유통량을 4%+ 줄였습니다.
바이백은 토큰 유틸리티·가치 제고, 팀의 장기 확신 표명이라는 측면에서 관심을 받습니다. 최근 유니스왑의 와이오밍 DAO 설립 제안은 보유자의 법적·세무상 책임을 경감할 수 있어, 통과 시 플랫폼 수수료 일부를 법인에 적립해 기존 토큰 보유자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
향후 더 많은 플랫폼이 공급 축소·매수 압력 유도를 위해 바이백을 채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지속 가능성과 수익 안정성은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