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XLM)란 무엇인가요?

스텔라(XLM)란 무엇인가요?
  • 스텔라는 빠르고 저비용의 국경 간 결제와 자산 이전을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 네트워크는 Stellar Core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며, SCP(Stellar Consensus Protocol)를 통해 수 초 단위로 합의에 도달합니다.
  • 네이티브 자산 루멘(XLM)은 수수료 지불, 최소 계정 잔고 유지, 자산 간 브리지 통화 역할에 사용됩니다.
  • 스텔라는 비영리 조직인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SDF)가 거버넌스를 담당하며, 앵커(Anchors), 파트너, 토큰화 자산 생태계를 지원합니다.

서론

국제 송금은 종종 느리고 비쌀 뿐 아니라, 여러 중개기관을 거치느라 며칠이 걸리기도 합니다. 스텔라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더 빠르고 저렴하며 접근성 높은 국경 간 자금 이전을 목표로 합니다.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인 루멘(XLM)은 거래 수수료 지불에 사용되며, 직접 교차 페어가 없는 통화들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 역할도 수행합니다.

스텔라란 무엇인가요

스텔라는 오픈소스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신속하고 경제적인 결제 및 자산 이전을 국경 간에 가능하게 합니다. 2014년 리플 공동창업자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과 조이스 킴(Joyce Kim)이 출범했으며, 보다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한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지향해 왔습니다.

네트워크는 비영리 단체인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SDF)의 지원을 받습니다. SDF는 스텔라의 오픈소스 코드 유지보수, 생태계 확장, 금융 접근성 제고(예: 송금, 자산 토큰화 지원) 등을 통해 네트워크의 개발과 채택을 촉진합니다.

스텔라의 작동 방식

Stellar Core

스텔라 네트워크는 Stellar Core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노드들로 구성됩니다. 이 노드들은 거래를 검증하고 순서를 결정하며, 공유 원장을 대략 5~7초마다 업데이트합니다. 누구나 스텔라를 노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노드를 운영하면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나 최소 수수료 같은 이슈에 투표하여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고, 동시에 네트워크의 탈중앙성과 보안성 강화에도 기여합니다.

SCP(Stellar Consensus Protocol)

스텔라는 작업증명(PoW)이나 지분증명(PoS) 대신 SCP 를 사용합니다. SCP는 연방 비잔틴 합의(FBA,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모델에 기반합니다.

이 모델에서 각 검증자는 쿼럼 세트(quorum set)라 불리는 신뢰 동료 그룹을 스스로 선택합니다. 서로 다른 쿼럼 세트 간에 충분한 중첩이 존재하면, 네트워크는 어떤 거래를 포함할지에 대해 합의할 수 있습니다. 투표와 확인 과정을 거쳐 모든 노드가 동일한 거래 집합에 수렴하는 식입니다.

이 접근법은 스텔라를 상대적으로 빠르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새 참가자에게 개방적이게 만듭니다. 채굴이나 대규모 스테이킹 없이도 거래는 수 초 내 확정될 수 있습니다. SCP는 보안성과 일관성을 중시해 상충하는 원장 버전이 확정되지 않도록 하며, 드물게 검증자들이 합의를 시도하는 동안 짧은 일시 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스텔라의 주요 기능

스마트 컨트랙트: 소로반(Soroban)

소로반(Soroban)은 스텔라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입니다. 컨트랙트는 러스트(Rust)로 작성되어 웹어셈블리(Wasm)로 컴파일되며, 다양한 환경에서 빠르고 안전한 실행을 지향합니다.

기존 스텔라 계정 모델은 원장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기본 예치금 형태로 소액의 XLM 최소 잔고를 요구합니다. 소로반은 여기에 렌트 기반 모델을 도입해, 저장 용량과 유지 기간에 따라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대출, 자산 관리 등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면서도, 스텔라의 빠르고 저비용인 기본 레이어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앵커(Anchors)

앵커 는 은행, 핀테크, 결제 사업자 등 신뢰 가능한 온·오프램프 역할을 하는 기관입니다. 이들은 달러, 유로 등 법정통화를 예치받아 스텔라 네트워크에 동등 가치의 토큰을 발행합니다. 이렇게 발행된 토큰은 수 초 내 글로벌 전송이 가능하며, 동일하거나 다른 앵커를 통해 다시 현금화(상환) 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는 국경 간 결제와 송금에서 요구되는 속도와 비용 절감에 특히 적합합니다.

활용 사례

  • 국경 간 결제: 수 초 내 결제 확정과 저수수료로 송금 및 글로벌 정산에 적합합니다.
  • 자산 토큰화: 채권, ETF, 원자재, 기타 증권 등 다양한 실물·금융 자산을 토큰으로 발행·유통할 수 있습니다. 토큰화된 자산은 지갑을 통해 배포되며, 폐쇄형 생태계 또는 다중 거래소/결제망에서 거래될 수 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발행: USDC를 포함한 여러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이 스텔라에서 발행되어 결제·이체에 활용됩니다.
  • 소액결제: 극소수의 수수료로 팁, 기부, 사용량 기반 결제 등 마이크로페이먼트에 적합합니다.
  • 금융 포용: 은행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모바일 지갑과 앵커를 통해 기본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XLM 토큰

루멘(XLM) 은 스텔라 프로토콜의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으로, 네트워크·생태계 전반에서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 브리지 통화: 직접 거래 페어가 없는 이종 통화 간 교환에서 중개 자산으로 사용되어 효율적 교차 거래를 지원합니다.
  • 거래 수수료: 모든 트랜잭션에는 소액의 XLM 수수료가 필요하며, 이는 네트워크의 스팸 방지와 혼잡 시 우선순위 부여에 활용됩니다.
  • 최소 잔고: 스텔라 계정을 유지하려면 소량의 XLM을 보유해야 하며, 트러스트라인 추가나 호가(오퍼) 등록 등 기능이 늘수록 요구량이 증가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소로반에서는 원장에 보관되는 컨트랙트 데이터의 렌트 비용을 XLM으로 지불합니다.

출시와 분배

스텔라는 2014년 론칭 시 1000억 XLM을 제네시스에서 생성했습니다. 초창기에는 연 1% 인플레이션 메커니즘이 있었지만, 2019년 커뮤니티 투표로 제거되었습니다. 같은 해 SDF는 약 550억 개의 토큰을 소각하여 총 공급량을 약 500억 개로 줄였고, 향후 추가 발행은 없도록 결정했습니다.

2025년 8월 기준, 약 313억 개의 토큰이 공개 유통 중이며, 약 184억 개는 SDF가 네트워크 개발과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스텔라는 국경 간 자금 이동을 더 빠르고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합의 프로토콜(SCP), 루멘(XLM)의 유틸리티, 앵커의 온·오프램프 역할을 결합해 블록체인과 전통 금융을 잇는 실용적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여기에 소로반 스마트 컨트랙트까지 더해지면서, 스텔라는 단순 결제를 넘어 탈중앙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래머블 금융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