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스(Stacks, STX)란 무엇인가요?
- 스택스(Stacks)는 비트코인의 기능을 확장해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을 지원하는 레이어 2 블록체인입니다.
- PoX(Proof of Transfer) 합의 메커니즘으로 스택스의 블록을 비트코인에 앵커(고정)하여, 비트코인의 보안을 활용합니다.
- sBTC는 1:1로 비트코인에 의해 담보되는 토큰으로, 비트코인을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파이(DeFi)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STX는 프로토콜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수수료 지불, 스태킹(Stacking) 지원, 채굴자 보상, 페그아웃 서명자 인센티브 등에 쓰입니다.
스택스란?
스택스는 비트코인의 보안·결제 레이어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머블 기능을 더해 주는 레이어 2 블록체인입니다. 스택스는 PoX 합의를 통해 활동을 비트코인 체인에 기록하고 검증받습니다. 네이티브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인 Clarity와, 비트코인과 스택스 간 자산 이동을 탈중앙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비트코인 담보 자산 sBTC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택스는 금융 프로토콜, 디지털 자산, 아이덴티티 시스템 등 비트코인에 연결되면서도 비트코인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스택스의 작동 방식
Proof of Transfer(PoX)
PoX 는 스택스를 비트코인과 연결하는 합의 메커니즘입니다. 비트코인의 작업증명(PoW) 모델을 확장하여 BTC를 사용해 스택스 네트워크를 보안·운영하므로, 새로운 채굴 하드웨어나 추가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채굴자(miner) 는 BTC를 전송해 다음 블록 생산자 선정을 경쟁합니다. 더 많은 BTC를 커밋할수록 선정 확률이 높습니다. 선정된 채굴자는 신규 발행 STX와 트랜잭션 수수료를 보상으로 받습니다.
- 스태커(Stacker) 는 STX를 잠가(lock) 네트워크 합의를 지원하고 BTC 보상을 받습니다.
- 요건을 충족한 스태커는 서명자(signer)으로도 활동하며, 새 블록 검증 및 sBTC 입·출금 승인(양방향 페그)을 담당합니다.
모든 스택스 블록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기록되므로, 스택스 트랜잭션을 되돌리려면 해당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되돌려야 합니다. 이 설계로 스택스는 비트코인의 보안을 상속하면서 프로그래머빌리티를 더합니다.
주요 기능
sBTC
sBTC는 스택스 상의 1:1 비트코인 담보 자산으로, 비트코인을 디파이·스마트 컨트랙트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오픈 양방향 페그 방식으로, 서명자 그룹과 스마트 컨트랙트가 예치·출금을 공동 관리합니다.
- 발행(민팅): 사용자가 비트코인 체인의 sBTC 페그 지갑에 BTC를 예치하면, 탈중앙 서명자들이 이를 검증하고 동일 수량의 sBTC를 스택스에서 민팅합니다.
- 사용: sBTC는 거래·대출·스마트 컨트랙트 상호작용 등에 활용됩니다. 비트코인은 비트코인 체인에서 계속 보관·검증 가능합니다.
- 상환(리딤): 사용자가 sBTC를 프로토콜에 반납(소각) 하면, 페그 지갑에서 동일 수량의 BTC가 사용자의 비트코인 주소로 출금됩니다. 각 거래는 복수 서명자 검증을 거쳐 단일 실패지점과 상대방 리스크를 줄이고, 모든 BTC는 비트코인 L1에서 검증 가능합니다.
Clarity
Clarity는 스택스의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로, 가독성·검증 용이성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지 않고 체인에서 직접 실행되므로, 누구나 실행 전 계약 로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택스의 각 블록이 비트코인 블록과 연결되어 있어, Clarity 컨트랙트는 비트코인 상태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특정 비트코인 트랜잭션 발생 여부를 확인한 뒤 스택스에서 함수 실행). 이를 통해 비트코인 상태와 상호작용하는 앱·금융 도구를 스택스에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듀얼 스태킹(Dual stacking)
듀얼 스태킹은 BTC를 잠가 sBTC를 민팅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해 sBTC로 분배되는 보상을 받는 기능입니다. 여기에 STX까지 잠그면 보상 지분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습니다. 참여 기간 중에도 자산은 스택스의 디앱에서 지속 활용 가능하며, 각 사이클 종료 시 참여 수준에 따라 보상이 분배됩니다.
활용 사례
- 비트코인 디파이: 비트코인을 담보로 활용하는 대출·거래·수익 프로토콜 구현.
- NFT: Clarity 스마트 컨트랙트로 NFT 발행·관리, 거래는 비트코인 체인에 앵커링.
- 아이덴티티: BNS(Blockchain Naming System)로 탈중앙 사용자명·네임스페이스 등록, 온체인 아이덴티티와 오프체인 데이터 연계(중앙 통제 없음).
STX 토큰
스택스 생태계의 네이티브 토큰 STX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 네트워크 수수료: 트랜잭션·앱 상호작용 시 STX로 수수료를 지불하며, 이는 트랜잭션 처리와 네트워크 안정성을 담당하는 채굴자에게 지급됩니다.
- 스태킹 보상: STX를 잠가 PoX 합의에 참여하면, 네트워크 보안·운영 기여에 대한 BTC 보상을 받습니다.
- 인센티브: 레이어 2에서 새 블록을 생산하는 채굴자는 신규 발행 STX를 보상으로 받습니다. 또한 스택스에서 비트코인으로 자산을 이동시키는 페그아웃(peg-out) 을 지원하는 서명자도 STX 보상을 받아 신뢰성 있는 크로스체인 전송을 유지합니다.
맺음말
스택스는 비트코인의 보안성과 단순성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을 도입한 레이어 2 네트워크입니다. PoX 합의를 통해 비트코인과 직접 연결되고, DeFi·NFT·프로그래머블 비트코인 자산 등 새로운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합니다. Clarity, sBTC, 듀얼 스태킹 등의 기능으로, 사용자는 비트코인을 보다 유연하게 활용하면서도 모든 상태를 비트코인 L1에서 완전 검증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