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이란 무엇인가요?

- 리플(Ripple)은 XRP 레저(XRPL) 위에 결제 솔루션을 구축하는 테크 기업이며, XRPL은 탈중앙화된 오픈소스 블록체인입니다.
- XRP는 XRPL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통화 간 브릿지, 거래 결제,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전반의 유동성 제공에 사용됩니다.
- 리플은 주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국경 간 결제 시스템을 개선하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 XRP는 토큰화, 디파이(DeFi) 애플리케이션, 체인 간 유동성, 온체인 컴플라이언스 도구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지원합니다.
Ripple이란?
리플은 글로벌 결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는 테크 기업입니다. 리플의 제품은 오픈소스 블록체인인 XRP 레저(XRPL) 위에서 구동되며,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인 XRP를 활용해 빠르고 저비용의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리플의 제품군은 은행, 핀테크, 가상자산 기업이 자금을 즉시 송수신하고, XRP로 거래를 결제하며, 디지털 자산을 발행·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제공 범위는 국경 간 결제 레일,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엔터프라이즈급 커스터디 솔루션까지 포함합니다.
XRP는 공개 시장에서 거래되며, 리플의 제품을 넘어 XRPL 생태계 전반에서 폭넓게 사용됩니다. 리플은 XRPL에 기여하는 여러 주체 중 하나일 뿐이며, 투명하고 점진적인 분배를 위해 일정량의 XRP를 에스크로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연혁
리플의 아이디어는 2004년 Ryan Fugger가 분산형 디지털 통화 시스템(RipplePay)의 초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면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2005년에 가동되었고, 글로벌 네트워크 내 안전한 결제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했습니다.
2012년 Fugger는 프로젝트를 Jed McCaleb과 Chris Larsen에게 넘겼고, 이들과 함께 미국 기반 테크 기업 OpenCoin을 설립했습니다. 이 시점부터 리플은 은행 및 금융기관 대상 결제 솔루션에 초점을 맞춘 프로토콜로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2013년 OpenCoin은 Ripple Labs로 리브랜딩되었고, 2015년에 다시 Ripple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Ripple의 작동 방식
XRP 레저(XRPL)
리플의 제품은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를 위해 설계된 공개 오픈소스 블록체인인 XRPL 위에서 동작합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달리 XRPL은 마이닝이나 스테이킹에 의존하지 않으며, Ripple Protocol Consensus Algorithm(RPCA)라는 독자적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거래는 독립 노드 네트워크가 검증합니다. 신뢰 검증인 80%의 합의가 이뤄지면 거래가 확정되며(보통 3~5초 내), 수수료는 낮게 유지됩니다. 누구나 검증인 노드를 운영할 수 있지만, 리플은 기관용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검증인 목록인 UNL(Unique Node List)을 유지합니다.
리플의 결제 제품군
리플은 국경 간 결제를 위해 RippleNet과 On-Demand Liquidity(ODL)라는 두 가지 핵심 제품을 제공합니다. 이들은 SWIFT와 같은 전통 결제 시스템 대비 더 빠른 결제 시간, 더 낮은 비용, 높은 투명성을 목표로 합니다.
RippleNet
RippleNet은 리플이 제공하는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로, 전통 은행권의 노스트로/보스트로 계정 모델을 대체하는 현대적 대안 역할을 합니다. 금융기관은 국제 결제를 실시간으로 추적·정산할 수 있습니다.
RippleNet은 간단한 API로 파트너와 연결되며, 클라우드 기반으로 호스팅됩니다. 리플이 시스템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보안을 담당해 기관의 온보딩과 운영 복잡도를 낮춥니다.
On-Demand Liquidity(ODL)
ODL은 XRP를 활용한 유동성 솔루션으로, 여러 통화에 대해 사전 예치(프리펀딩)된 계정이 없어도 결제를 처리하게 해 줍니다. 도착국 통화를 미리 보유할 필요 없이, 결제 시점에 XRP를 통해 실시간(온디맨드)으로 정산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인도 송금의 경우, 엔화→XRP 변환→XRPL 전송→수신단에서 XRP→루피화 변환 순서로 처리합니다. 이 과정은 보통 수 초 내 완료되며, 송·수신자 모두 XRP를 직접 보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결과 자본 비용이 감소하고 효율성이 높아지며 24/7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XRP 토큰
XRP는 XRP 레저의 네이티브 자산으로, 리플의 인프라와 XRPL 생태계 전반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됩니다.
- 브릿지 통화: 서로 다른 법정통화 간 고속·저비용 국경 간 결제를 지원하며, 사전 예치 계정 없이도 송금이 가능합니다.
- 거래 수수료: 각 거래 처리에는 소량의 XRP가 필요해 스팸 방지와 네트워크 성능 유지에 기여합니다.
- 유동성 공급: XRPL에 내장된 탈중앙화 거래소(DEX), 자동화된 마켓메이커(AMM), 체인 간 거래 시스템에서 유동성 자산으로 사용됩니다.
- 담보 및 에스크로: 발행자는 XRPL의 네이티브 에스크로 기능으로 자산을 시간 기반 또는 조건부로 잠가 온체인 금융 활용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발행 및 분배
XRP는 2012년 총 1,000억 개가 제네시스에서 일괄 발행되었습니다. 채굴이나 스테이킹은 없고, 총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습니다. 초기 분배에서 800억 개의 XRP가 Ripple Labs에 배정되어 네트워크 개발과 채택 확대에 쓰였고, 나머지 200억 개는 프로젝트 창립자와 초기 기여자에게 분배되었습니다.
2017년, 리플은 550억 XRP를 온체인 에스크로에 예치해 예측 가능하고 투명한 공급 관리를 도입했습니다. 에스크로는 월 최대 10억 XRP를 자동 해제하며, 미사용분은 일정의 말미로 이월됩니다. 2025년 8월 기준, 에스크로에는 약 356억 XRP가 남아 있습니다. 모든 해제는 XRPL 프로토콜 규칙에 의해 자동화·투명하게 집행됩니다.
규제 이슈
리플은 2020년부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법적 분쟁을 이어왔습니다. SEC는 리플이 등록되지 않은 증권으로서의 XRP를 판매했다고 주장했고, 그에 따라 일부 거래소에서 XRP 거래 지원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2023년, 미국 연방 판사는 공개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XRP는 증권이 아니다고 판단했으나, 기관 투자자 대상 리플의 판매에 대해서는 증권법 위반이라고 판시했습니다.
이후 SEC의 항소는 기각되었고, 리플 경영진에 대한 혐의는 취하되었습니다. 법원은 리플에 1억 2,5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는데, 이는 SEC가 처음 요구했던 20억 달러에 비해 크게 낮은 금액이었습니다. 양측은 항소를 종결했고, 이번 판결은 미국 내 가상자산 규제의 이정표로 평가되며, XRP와 같은 디지털 자산의 법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선례가 되었습니다.
맺음말
리플과 XRP는 국경 간 결제와 유동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실용적 적용을 보여줍니다. XRP 레저를 기반으로 한 리플의 제품은 전통 시스템 대비 더 빠른 결제, 더 낮은 비용, 더 높은 운영 효율을 목표로 합니다.
XRP는 브릿지 통화, 수수료 지불 수단, 온체인 유동성 원천으로 기능하며, 리플의 제품군을 넘어 XRPL 생태계 전반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SEC 소송 등 규제 도전을 겪었음에도, 리플과 XRP는 글로벌하게 운영되며 XRPL의 지속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