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에는 어떤 주문 유형들이 있나요?

핵심 요약
- 기본 주문(시장가, 지정가, 포스트 온리/리밋 메이커)은 서로 다른 목적의 체결 방식을 제공합니다.
- 청산(익절/손절) 전략, 테이크프로핏(TP), 스톱로스(SL)은 가격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포지션을 정리해 리스크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 고급 연동 주문(OCO, OTO, OTOCO)은 여러 조건을 묶어 더 정교한 트레이딩 자동화를 구현합니다.
소개
다수의 글로벌 거래소는 다양한 주문 유형을 제공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시장가(Market)·지정가(Limit)에서 시작해, OCO(One Cancels the Other), OTO(One Triggers the Other)처럼 조건을 연결해 쓰는 고급 주문까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이 글은 각 주문의 기능과 사용 시점을 개요 수준에서 정리합니다.
기본 주문 유형
모든 주문에는 종목과 방향(매수/매도)을 지정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기본 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장가 주문 (Market)
가장 단순하고 즉시 체결을 목표로 합니다. 주문을 넣는 즉시 호가창의 최우선 반대 호가와 맞부딪혀 체결됩니다.
- 장점: 속도가 빠릅니다. 급하게 진입/청산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유의점: 체결되는 동안 가격이 움직이면 최종 체결가가 예상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슬리피지).
2) 지정가 주문 (Limit)
원하는 가격을 직접 지정합니다. 시장이 그 가격(또는 더 유리한 가격)에 도달해야 체결됩니다. 급하지 않은 진입/청산에 적합합니다.
- 유효기간(Time in Force, TIF) 을 함께 지정합니다.
- GTC (Good ’Til Canceled): 체결되거나 사용자가 취소할 때까지 유효.
- IOC (Immediate Or Cancel): 가능한 수량만 즉시 체결, 나머지는 자동 취소.
- FOK (Fill Or Kill): 전량 즉시 체결 가능할 때만 체결, 아니면 전량 취소.
3) 포스트 온리(리밋 메이커) 주문 (Post-Only / Limit Maker)
지정가와 유사하지만, 제출 즉시 체결되지 않도록 보장해 메이커 유동성만 공급하도록 하는 주문입니다. 일부 거래소에서는 “Post-Only” 옵션, 혹은 “Limit Maker” 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 장점: 즉시 체결을 피하므로 메이커 수수료(테이커보다 낮은 경우가 많음)를 적용받기 용이합니다.
- 유의점: 제출 가격이 즉시 체결될 상황이면 자동 취소(또는 가격 조정)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청산 전략
포지션 관리에서 익절/손절 자동화는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스톱로스와 테이크프로핏이 있습니다.
스톱로스(Stop Loss, SL)
시장 가격이 설정한 스톱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하여 손실을 제한합니다.
- 트레일링 스톱(Trailing Stop)을 사용하면, 시장이 유리하게 움직일 때 스톱 가격이 자동으로 따라가 수익을 보호하다가 불리한 방향으로 일정 폭 움직이면 청산이 트리거됩니다.
테이크프로핏(Take Profit, TP)
가격이 설정한 목표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해 이익을 확정합니다.
- TP와 SL을 동시에 설정해, 목표 수익과 허용 손실 범위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주문 (Conditional Order Types)
조건을 만족할 때만 실제 주문이 발동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스톱로스-리밋(Stop Loss Limit)
스톱 가격에 도달하면 리밋(지정가) 주문을 발동시킵니다. 급변장에서도 임의의 불리한 가격에 체결되는 것을 피하고, 원하는 최소 수용 가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장점: 단순 스톱로스(시장가 청산)보다 체결 가격에 대한 통제력이 높습니다.
- 유의점: 빠른 하락장에서 지정가에 체결이 안 되고 남을 수 있습니다.
테이크프로핏-리밋(Take Profit Limit)
미리 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리밋 주문이 발동됩니다. 목표 수익 구간에서 원하는 가격 이상으로만 청산되도록 할 때 사용합니다.
- 유의점: 급등 후 급반락하는 구간에서는 지정가에 미체결될 위험이 있습니다.
고급 연동 주문 (Advanced Linked Orders)
여러 주문을 연결해 더 정교한 자동화를 구현합니다.
OCO (One Cancels the Other)
두 주문(TP/SL 등)을 한 묶음으로 제출합니다. 하나가 체결되면 다른 하나는 자동 취소됩니다.
- 예시: 위쪽에는 익절(테이크프로핏) 리밋, 아래쪽에는 손절(스톱로스 또는 스톱리밋) 을 걸어 한쪽만 실행되도록 설정.
OTO (One Triggers the Other)
첫 주문이 전량 체결된 뒤에만 두 번째 주문을 자동으로 제출합니다.
- 예시: 매수 지정가가 체결되면, 그때 청산용 주문(TP/SL) 을 자동 배치.
OTOCO (One Triggers One Cancels the Other)
첫 주문이 체결되면, 두 번째 단계에서 OCO 묶음(TP/SL) 을 자동 제출합니다.
- 활용: 진입 → (자동) 익절/손절 양방향 가드레일을 한 번에 세팅하는 완결형 시나리오.
마무리
주문 유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리스크를 줄이며 체계적인 결과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시장가는 속도, 지정가/포스트 온리는 가격 통제와 수수료 최적화,
- TP/SL 및 조건부/연동 주문은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포지션을 관리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시장을 쫓아 반응하기보다, 명확한 규칙으로 선제적으로 설계된 트레이딩을 가능하게 합니다.
Disclaimer: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일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추천이나 법률, 사업, 투자, 세금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거나 회계, 법률, 세무 관련 지침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특정 자산에 대한 언급은 단지 참고용 정보일 뿐, 투자 권유의 의미가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서 제시된 의견은 관련된 기관이나 조직,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